Git 이란 무엇일까?

 

리수스 토르발스가 만든 분산형 버전 관리 시스템입니다.


분산형

  • 각 개발자가 중앙 서버에 접속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코드 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.
  • 중앙 집중형 버전 관리 시스템의 저장소가 서버에만 있는 것과 달리 분산형 버전 관리 시스템은 모든 클라이언트가 저장소가 될 수 있습니다.
  • 모든 클라이언트가 저장소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오프라인 작업이 가능합니다. (git은 저장소를 일단 로컬에 복제하고 로컬에 있는 히스토리를 그대로 유지하기 때문에 서버와 연결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작업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.)


버전관리

  • 변경점 관리: 어떤 내용을 누가 작성해서 어느 시점 시점에 수정했는지 확인할 수 있게 해준다.
  • 버전 관리: 특정 시점에 꼬리표(Tag)를 달어 버전을 표시해주고, 브랜치(Branch) 등으로 동시에 여러 버전을 개발할 수 있게 해준다.
  • 백업&복구: 무언가 잘못되었거나 내용이 날아갔을 때 특정 시점으로 돌아갈 수 있게 해준다.
  • 협업: 같이 일하는 사람들에게 수정사항을 쉽게 공유할 수 있다.


버전관리 없이 문서를 작성한 경우

출처: 나무위키

 


설치 링크

  • git-scm → 필수 설치 프로그램.
  • (Optional) Sourcetree → Git GUI툴. 소스코드를 예쁘게 보기 편하다.

 


Git 설치하기


Git을 사용하려면 우선 설치해야 한다. 이미 설치했으면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하는 게 좋다. 패키지를 설치하거나 별도의 인스톨러로 설치할 수 있다. 아니면 직접 소스코드를 내려받아서 컴파일할 수도 있다.

Git 설치하기 (공식 문서로 이동)